1. 택터스테크놀로지(Tactus Technology)가 터치스크린 자판을 솟아오르게 하고 사용 후 가라 앉는 기술 개발을 완료.
2. CES 2014에서 주목 받은 게임 관련 기술 및 서비스
▲오큘러스 리프트에 위치 추적 기능이 부가된 ‘크리스털 코브’
▲PS3 게임을 PS4 등 다양한 기기에서 즐기게 해주는 ‘플레이스테이션 나우’(PS 나우)
▲거실 TV를 게임기로 바꿔주는 밸브 ‘스팀 머신’
▲눈의 움직임으로 게임 컨트롤이 가능한 ‘아이엑스’
▲PC 및 콘솔 게임을 모바일에서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엔비디아 ‘테그라 K1’
▲오디션 및 그랑메르 같은 스마트 TV용 게임 등
[기사원문보기]
3. 문자 Vs 메신저 ??
-카카오톡과 마이피플(다음커뮤니케이션)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메신저는 통신비밀보호법에 따라 수·발신 로그 기록을 3개월간 보관. 내용에 대한 특별한 규제는 없어 카카오톡은 5일 , 마이피플은 3개월 보관 , 라인은 일정기간 보관
– 라인은 일본법에 따라 관리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는 현재 통신비밀보호법에 따라 통화·문자(SMS·MMS) 발신기록만 1년간 서버에 저장. 통화·문자 내용은 저장하지 않는다.
4. 구글 페이스북 Vs 개인정보 보호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정밀한 타겟 마케팅이 가능해지면서 기업은 수익모델이 확대되고 있지만, 개인정보 수집의 범위가 점점더 확대되어 개인의 디테일한 사생활까지 침해 논란.
‘개인정보 제공 동의 절차가 지나치게 포괄적이고 추상적’
5. 태블릿으로 인해 작년 세계 PC 출하량 10%감소 .
6. ‘오늘도 빵야빵야 for kakao’ 출시 2개월만에 폐업…카톡 게임의 현주소
7. 디지털 사용자 70% “스마트폰 때문에 눈 불편해” 건조한 눈, 뿌연 시야, 목과 어깨 통증 등
8. 기대했던 애플의 ‘레드 프라이데이’ 할인행사. 블랙 프라이데이처럼 기대 했으나 고작 몇 만원 할인에 아쉬움.
9. 네이버 밴드의 게임 플랫폼 사업 진출에 긴장. 모바일게임, 카톡·라인 매출의 60% 이상…새 플랫폼은 생존게임.
10. ‘보안모듈의 메모리 해킹 및 이체정보 변경 악성코드’의 변종이 발견돼 인터넷뱅킹 사용자의 각별한 주의 필요.
보안모듈의 메모리를 해킹(수정)해 보안모듈 무력화한 뒤, 공인인증서 비밀번호, 보안카드 번호 등 금전 이체에 필요한 정보를 탈취, 계좌 이체 시 받는 사람의 계좌번호를 공격자가 원하는 계좌번호로 몰래 바꾸고, 이체하는 금액도 사용자 몰래 수정하는 등의 행위로 금전 탈취를 시도. 금융기관 입장에서는 정상적인 이체 사례여서 이상 징후를 파악하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