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ssue” 어플리케이션을 다운 받으시면 편하게 스마트폰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1. SKT 아이리버 인수 가시화 사물통신(IoT) 시장 확대전략을 본격화.
왜 삼성이 아닌 SKT가 인수 하려 할까요? 애플 비츠 인수처럼 사운드의 승부를 걸게 아니라면..하드웨어 생산을 하지 않기 때문에 스마트폰 앱서서리 분야를 공략해 보려 하는 듯 합니다. 하지만 사물인터넷 분야에 아이리버가 어떤 강점이 있을지.. 아이리버의 디자인 아이덴티티가 얼마나 SKT에 반영 가능 할지는 미지수 인 것 같습니다.
2. 피 한 방울로 암을 95%까지 정확하게 진단 수 있는 휴대용 센서인 진단용 DNA, ‘압타머’ 개발
일반 가정에 보급화되어 수시 조기검진 할 수 있는 시대가 오길 바랍니다. 일반 상용화의 문제로는 현재의 병원에서 시행하는 혈액 암검사 비용보다 저렴해야 겠습니다.
3. 90년대 인기 비디오 재생 프로그램이였던 ‘리얼플레이어’가 ‘리얼플레이어 클라우드’로 새로운 서비스 국내 오픈.
사용자는 어느 기기에서나 인코딩 필요없이 똑같은 동영상을 볼 수 있도록 파일 저장소를 제공하지만, 동영상 파일만 등록 가능 한 것이 특징.
동영상만 공유 한다는 특수성에 그 사용의 한계가 있다! 개인 스마트폰 촬영 영상의 공유는 기존 SNS 를 통해 충분히 잘 활용되고 있으며, 일반 미디어 콘텐츠의 공유에 저작권 문제로 20분의 제한이 있다면 유투브의 벽을 넘지 못 할 것 같다. 다만 자신만의 대용량 파일 저장 관리를 통해 영화나 드라마 매니아 들에게는 어느정도 수요가 있지 않을 까 합니다.
4. 명의도용 대포폰, 1년에 5천대씩 자신도 모르는 사이 신용 불량자가 되는 사회.
스미싱 피해만 조심한다고 개인정보누출 피해가 그치는 것은 아닙니다. 이미 다양한 범죄에 명의도용 되고 있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런 문제는 조심해서 될 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피해 발생 시 경찰과 관련 부처에 빠른 대응이 필요 합니다.
5. 스타벅스가 올해 중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스타벅스 매장에서 무선 충전 서비스를 위한 ‘파워매트 스팟(Powermat spot)’을 설치할 계획.
테이블에 올려만 두어도 충전이 가능.
무선충전 전문업체 ‘듀라셀 파워매트’와 협력해 이미 보스톤, 새너제이 등 몇몇 매장에서 파워매트 스팟을 선보였다.
스마트폰 충전을 위해 커피 한잔을 사 먹게 만드려는 전략. 혹자는 테이블에 더 머무르게 한다고 말하지만 결코 그건 매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더 쉽게 매장 안으로 끌어 드리려는 생각인 것이다. 무선 충전에 따른 전자파 걱정 등은 당장 배터리 충전을 위한 사람들에게는 크게 중요치 않을 수 있다.
급하지만 충전을 하며 잠시 커피를 마시며 휴식을 취할 수 있다는 ..
6. 애플-삼성 ITC판정 항고 함께 취하
7. 온세텔레콤은 한국형 워드프레스 테마마켓인 ‘온세테마(Onse Theme)’를 출시
반응형 및 한국형 게시판을 지원하고 있지만 아직 결제 및 상품 관리가 지원되는 테마 및 플러그인은 없었습니다. 한국형 상품 관리와 결제 지원이 가능 하다면 국내 워드프레스의 활성화가 증대 될 것 같습니다.
8. 소리바다는 동서식품의 맥심 카누(KANU)와 제휴를 맺고 ‘세상에서 가장 쿨한 뮤직카페’를 오픈. DJ 유희열이 선곡한 음악과 커피한잔.
9. SK텔레콤은 한국도로공사와 빅데이터를 공유하고 활용하기 위한 상호 양해각서(MOU)를 체결
SK텔레콤의 상권분석서비스 지오비전(Geovision)에서 제공하는 지리, 공간, 위치정보 등의 빅데이터와 한국도로공사의 고속도로 이용 공공데이터를 상호 공유해 공공정책수립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목적.
10. 정부, 중소기업·소상공인에 SaaS 지원
14개 ‘특화솔루션’과 소기업용으로 구현된 57개 ‘기본솔루션’
기본솔루션은 정보화 초기기업을 위한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부가가치세 관리 등 단순 업무용 기능과 금융관리, 수납지급관리,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부가가치세 관리 등 9개 기능을 제공
11. 월드컵 첫 도입 된 ‘디지털 골 판독 기술’이 논쟁을 야기.
육안과 정교한 디지털의 경계에 있는 관중의 감정을 반영하기에는 오심의 논란은 여전히 남았다.
12.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사회기여 움직임
‘데이터 사이언스 폴 소셜 굿(Data Science for Social Good, DSSG) ” 에서 오픈소스 활용 빅데이터 분석도구 개발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