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러시아, 신형 우주로켓 ‘앙가라’ 시험 발사 성공
2. 미래창조과학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은 올해 ‘대중소기업 상생 IT혁신사업’의 IT협업시스템 구축 지원 대상으로 에이엠에스(자동차부품), 현대내자터미널(물류) 등 2개 컨소시엄(50개 협력중소기업)을 선정하고 10일 IT협업 시스템 구축 착수식을 개최
생산, 조달, 물류, 대금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공유
3. 샤오미 ‘Mi 패드’ 16GB 중국모델의 외형과 성능ㆍ촬영기능 테스트를 공개.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애플 아이패드 짝퉁.
1.5GHz 쿼드코어 프로세서 ‘엔비디아 테그라 K1’을 탑재. 크기 202.1 x 135.4 x 8.5mm, 무게 360g. 코닝 7.9인치 고릴라 글래스를 채용.
4. 애플, 전면 유리 케이스 제조 공법 ‘융합된 유리 기기 제조’ 특허 취득.
전자 기기의 모든 면을 매끄러운 유리로 제조 가능
5. 한국IDC는 ‘한국 ERM 애플리케이션 시장 분석 및 전망, 2014-2018’을 통해 올해 국내 ERP 애플리케이션 시장이 6.3% 성장할 것으로 전망.
6. 경실련 “애플社 수리정책 불공정”…공정위 약관심사 청구
▲수리 과정서 교체된 부품이나 제품은 애플사의 소유로 한다는 조항
▲계약서에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애플은 결과적 손해, 특별한 손해, 간접적 손해, 징벌적 손해나 제3자의 청구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조항
▲애플은 계약을 언제든지 변경할 권리를 보유한다는 조항
▲서비스가 시작되면 그 주문은 취소될 수 없고, 고객은 계약을 철회할 수 없다는 조항
이번 계기로 불공정 약관이 수정되어 소비자의 피햐가 줄어 들기를 바랍니다.
7. 방송통신위원회가 씨씨에스 충북방송, 강원방송, 씨제이헬로비전 영서방송·전북방송, 충청방송, 티브로드 도봉강북방송·한빛방송 등 7개종합유선방송사업자(SO)에 대해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에게 프로그램 사용료를 미지급하거나 지연 지급한 것과 관련해 과징금 부여
8.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접수된 개인정보침해 신고·상담 건수는 총 17만7736건 중 ‘주민등록번호 등 타인 정보의 도용·침해·훼손’이 12만9103건으로 이는 전체 신고와 상담 건수의 73%
이미 공공자원 , 공공데이타라고 불릴 정도로 개인정보가 유출되고 사용되어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 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최근 정부의 움직임에 아이핀 등의 사용은 군본적인 문제를 해소 시켜 줄 수는 없어 보입니다.
9. 방송통신위원회 ‘보조금 상한 조정안’
25만~35만원 범위 내에서 6개월마다 조정하기로 ..
현재 대리점의 50~70만원의 보조금 살포에 과연 이 정책이 실효성이 있는 것인지 의문이다. 통신사를 대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대리점만 단속하기 바쁜 정부.
6개월 마다 변경 가능한 보조금 제도가 오히려 사용자를 기만하고 통신사를 도와주는 꼴.
이전의 보조금 제안 정책과 별반 다르지 않아서 그 동안 50일만 허비한 셈.
10. 방사청·미래부, 5년간 민군기술협력 사업에 296억원 투자.
△저속 원자물질파 발생 기술
△대전력 전원시스템 소형화 기술
△초고속 수중운동체 기술
△수중음향 영상화 기술
△미래소재 기술 등
5개 프로젝트, 13개 세부과제를 추진
11.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루팅할 수 있는 툴인 ‘타월루트(Towelroot)’
이 툴은 삼성전자 갤럭시S5, 갤럭시 노트3, LG전자-구글이 공동개발한 넥서스5 등에도 적용 가능.
“무료 소프트웨어(free software)이기 때문에 뭘하든 자유이지만 저작권은 따로 있으며 악용(reimplement)되기 쉬운 것도 사실”
해당 루팅툴에 포함된 소스코드(native code)를 가져다가 악성 앱을 만들 수도 있고, 리버스엔지니어링해서 소스코드를 확보해 악용할 소지도 분명히 있다는 설명.
12. 구글이 크롬캐스트를 이용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과 태블릿 화면을 TV로 미러링하는 기능을 업데이트해 배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