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열린 ‘국가재난안전통신망 공개토론회’를 통해 수조원의 국가재난안전통신망을 통합 구축 하겠다는 입장 표명
국가재난망 ‘PS LTE’로 ‘자가망+상용망’…비용은 1.7조원
2003년 대구지하철 참사 이후 12년째 구축을 논의 중 ..재난안전통신망의 문제보다 본질적 현장에서 즉시 재난구조에 투입 할 수 있는 메뉴얼 재정부터 시급. 먼저 상용망을 가지고 1차 운용을 하여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입니다.
△재난망 기술방식은 미국, 영국, 캐나다와 공조가 가능한 공공안전 LTE로
△재난망과 철도망 e내비게이션망을 700MHz 대역에서 20MHz폭으로 공동운영
△향후 모바일 전자정부로의 확장과 보안성, 신기술 업데이트 등을 고려해 상용망을 쓰기보다는 자가망을 위주로 구축
2. 새로운 개념의 방송수신기기 ‘TV패드’가 중국에서 확산되면서 우리 방송 콘텐츠가 불법 유통에 무방비로 확산
TV패드 가격은 300달러(약 30만원) 안팎. 중국뿐만 아니라 호주, 미국 등지로 보급확대
3. 인터넷망사업자 불공정 관행 개선.
• 데이터 상호접속 제도, 무선 인터넷으로 확대
중소사업자 권리 보호.
• 상호접속이란 특정 통신사의 가입자가 다른 통신사의 가입자와 통화가 가능하도록 사업자 간 통신망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그동안 각사의 인터넷 접속조건에 따라 등급별로 사업자군을 분류해 상위 ISP가 접속료를 임의대로 산정하던 방식을 개선
4. SNS 소셜 로그인의 사용 비중
– 긱야(GIGYA)에 따르면 올해 4∼6월 소셜 로그인 이용률 조사 결과 55%가 페이스북, 27%는 구글플러스, 11%는 야후, 5%는 트위터
5. G3 – INYT 기사
• 혁신적인 레이저 오토 포커스로 카메라와 피사체의 거리를 빠르게 측정, 신속한 촬영이 가능
• 빠른 클로즈업 포커싱
• 쿼드 HD 디스플레이 현존 최고의 평가 – 갤럭시S5는 물론, HTC의 원(M8), 아이폰 5S를 능가한다.
6. 구글, ‘지식 타임라인뷰’ 기능 테스트 중
• 위키피디아에 공개된 이미지와 텍스트를 불러와 검색 결과 상단 타임라인과 연결
7. 페이스북이 메신저 기능을 메신저 전용 앱으로 독립시킨다. 따라서 페이스북 앱에서는 메신저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8. 안드로이드용 애플리케이션(앱)을 수정할 수 있게 하는 개발자용 ID를 악용해 정상 앱에 악성코드를 주입시켜 정보를 빼내거나 조작하는 일명 ‘페이크ID(FakeID)’라는 취약점이 수년째 방치됐다가 최근에야 보안조치.
‘구글 버그 13678484’
9. 포드, 업무용폰 블랙베리→아이폰으로 교체 결정
10. 애플은 메모리 용량을 2배로 늘린 레티나 디스플레이 고급형 노트북 맥북프로 신제품을 출시.
레티나가 탑재되지 않은 기존 모델에 대해 100$ 가격 인하.
11. 힐튼호텔 객실 키 없애고 스마트폰으로 대체